#이다용 #생명연 선임연구원 연구진
입력 2024.03.28. 10:05업데이트 2024.03.28. 13:0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진이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어미 생쥐의 모유를 먹은 생쥐는 비만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이다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조성희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정보현 생명연 박사후연구원./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부모의 자녀가 비만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미세플라스틱이 모유의 지방 성분을 바꾸고 이로 인해 자녀의 장내 미생물의 변화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다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진은 28일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자녀의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 ㎜ 이하의 작은 크기로 쪼개진 플라스틱 조각이다. 주로 큰 플라스틱 제품이 분해돼 만들어지며 섭취시 대부분이 몸 밖으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체내에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암을 유발하고, 신체 대사를 바꿔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미세플라스틱은 더 분해돼 초미세플라스틱으로 쪼개지면 1 ㎛(마이크로미터·1 ㎛는 100만분의 1 m) 크기 이하로 더 작아진다. 크기가 작아 검출이 어렵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더 크다. 초미세플라스틱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이 세대를 이어 자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생명연 연구진은 생쥐를 이용해 초미세플라스틱이 어미의 모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생활용품에 주로 쓰이는 폴리스타이렌(PS)과 폴리프로필렌(PP)을 어미 생쥐에게 먹인 후 새끼 생쥐에게 수유를 하게 했다.
초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생쥐의 모유는 비만도와 관련이 깊은 지방 성분의 변화가 확인됐다. 지방의 한 종류인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의 양은 증가한 반면 포스파티딜콜린(PC)의 양은 감소했다. 이런 지방 비율 변화는 모유를 먹은 새끼 생쥐에서도 나타났다.
지방 성분이 변한 모유를 먹은 새끼 생쥐는 몸무게의 변화도 나타났다. 지방 대사에 이상이 생기고 장내 미생물의 변화로 비정상적인 과체중이 나타난 것이다. 반면 신체 대사를 조절하는 효소를 통해 지방 성분 변화를 막자 급격하게 늘었던 몸무게는 정상 범위로 회복됐다.
연구진은 초미세플라스틱에 의한 모유의 성분 변화가 새끼 생쥐의 장내 미생물에 영향을 미쳐 급격한 체중 변화가 일어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초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새끼 생쥐의 장내 미생물은 비만 상태일 때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만을 막는 것으로 알려진 박테리아(세균)의 비율이 크게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소아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해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다.
이 선임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과 소아 비만 사이의 연관성을 최초로 신체 대사로 규명한 연구”라며 “실제 관련 질환 환자에 노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과 생물학적 영향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후속 연구와 조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국제 환경학’에 지난달 24일 소개됐다.
참고자료
Environment International, DOI: https://doi.org/10.1016/j.envint.2024.108522
|

******************************************************************************************************
#미세플라스틱 #시험분석 기술서비스 #시험표준개발 #국제공인시험기관 #KOLAS
#시험/분석 #환경 #수질 #토양 #대기 #폐기물 #타이어 #슬러지
#식품 #음료 #벌꿀 #주류 #소금 #어패류 #해조류 #미세플라스틱분석 #미세플라스틱시험
#세탁폐수 (#미세섬유) #세탁망 #필터 #화장품 #치약 #생활화학제품
#식품용기 #티백 #젖병 #종이컵 #정수기 #젖병소독기
#표준개발 ISO/TC61/SC14, TC38, TC147/SC2&SC6 (Microplastics) Korean Delegate
IEC/TC 111/WG 3 & JWG 14 Co-Convenor
IEC 62321-3-2(#Halogen ),-10 (#PAHs ), -13(#BPA ), -14(#SCCP/MCCP ) Project leader
- 분석장비: #TEDGCMS, #microFT-IR #microRaman, #ICPMS #XRF #Combustion-IC 등
#PAHs분석 #SCCPMCCP분석 #Halogen분석
#생체시료분석 #생체미세플라스틱분석 #혈액미세플라스틱분석 #인체미세플라스틱분석
#생체시료시험 #생체미세플라스틱시험 #혈액미세플라스틱시험 #혈액미세플라스틱검사
#ISO/IEC 17025 (국제공인시험기관, KOLAS) 인정 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