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NEJM 논문] 죽종(Atheromas) 및 심혈관계(Cardiovascular Events) 질환의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플라스틱

한국분석과학연구소 2024. 3. 15. 13:54

심장환자 대상 이탈리아 연구 결과가 2024년 3월 7일 저명한 의학 학술지(NEJM, 2023년 impact factor: 158.5)에 발표됐다.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콜레스테롤과 지방이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혈관내 문제 발생 시에 수술 중 제거한 혈관내 침전물 덩어리(플라크)를 분석한 결과,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플라스틱이 발견된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을 비교했다.

수술 뒤 34개월 동안 뇌졸중, 심근경색, 사망위험에서 미세플라스틱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혈관 플라크에서 발견된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심근경색, 사망 위험이 무려 4.5배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토대로 미세플라스틱이 혈관 안쪽에 쌓이면 염증을 유발하여 뇌졸중과 심근경색과 같은 고위험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추정을 본 연구진의 논문 상에서 언급하였다.

관련 상세 내용은 논문을 참조 바랍니다.

Microplastics and Nanoplastics in Atheromas and Cardiovascular Events

죽종 및 심혈관계 질환의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플라스틱

Atheromas (죽종) 이란?

죽종(粥腫 Atheroma)은 동맥의 벽에 세포 부스러기, 지질 (콜레스테롤지방산), 칼슘, 그리고 다양한 결합조직이 쌓여 커진 것을 의미한다. (粥)은 그러한 상태를 주요하게 가리킨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3%BD%EC%A2%85

 

죽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Cardiovascular(심혈관)

https://ko.wikipedia.org/wiki/%EC%8B%AC%ED%98%88%EA%B4%80%EA%B3%84_%EC%A7%88%ED%99%98

 

심혈관계 질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이름Cardiovascular disease섬유화(노란색)와 아밀로이드증(갈색)이 진행된 심장의 현미경 사진.진료과심장학통상적 발병 시기노년층[1]유형관상동맥질환, 뇌졸

ko.wikipedia.org

 

 

그림 1. #경동맥 플라크의 MNP.

등록된 환자들은 미세플라스틱의 존재 여부를 검사받았으며, #동맥내막절제술 동안 절제된 경동맥 플라크의 나노플라스틱(MNP)(패널 A). 이들 화합물의 증거를 포함하는 절제된 #경동맥 플라크의 폴리에틸렌 및 폴리염화비닐의 중앙값 및 개별 수준은 #죽상동맥경화반 밀리그램당 마이크로그램으로 표시됩니다(패널 B).

BACKGROUND 배경

Microplastics and nanoplastics (MNPs) are emerging a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preclinical studies. Direct evidence that this risk extends to humans is lacking.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MNP)은 전임상 연구에서 심혈관 질환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위험이 인간에게까지 확대된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부족합니다.

METHODS 행동 양식

We conducted a prospective,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volving patients who were undergoing carotid endarterectomy for symptomatic carotid artery disease.

The excised carotid plaque specimen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MNPs with the use of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GC-MS ) , stable isotope analysis, and electron microscopy. Inflammatory biomarkers were assessed wi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immunohistochemical assay. The primary end point was a composite of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or death from any cause among patients who had evidence of MNPs in plaque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plaque that showed no evidence of MNPs.

우리는 증상이 있는 경동맥 질환으로 인해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다기관, 관찰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절제된 경동맥 플라크 표본을 열분해-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안정 동위원소 분석 및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MNP의 존재 여부를 분석했습니다. 염증성 바이오마커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 및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해 평가되었습니다. 1차 종료점은 MNP의 증거가 없는 플라크 환자와 비교하여 플라크에 MNP의 증거가 있는 환자의 심근경색, 뇌졸중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의 복합이었습니다.

RESULTS 결과

A total of 304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nd 257 completed a mean (±SD) follow-up of 33.7±6.9 months. Polyethylene was detected in carotid artery plaque of 150 patients (58.4%), with a mean level of 21.7±24.5 μg per milligram of plaque; 31 patients (12.1%) also had measurable amounts of polyvinyl chloride, with a mean level of 5.2±2.4 μg per milligram of plaque.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visible,

jagged-edged foreign particles among plaque macrophages and scattered in the external debris. Radiographic examination showed that some of these particles included chlorine. Patients in whom MNPs were detected within the atheroma were at higher risk for a primary end-point event than those in whom these substances were not detected (hazard ratio, 4.53; 95% confidence interval, 2.00 to 10.27; P<0.001).

총 304명의 환자가 연구에 등록했고, 257명이 33.7±6.9개월의 평균(±SD) 추적 관찰을 완료했습니다. 150명 환자(58.4%)의 경동맥 플라크에서 폴리에틸렌이 검출되었으며, 평균 수치는 #플라크 밀리그램당 21.7±24.5 μg이었습니다. 31명의 환자(12.1%)도 측정 가능한 양의 폴리염화비닐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평균 수치는 플라크 밀리그램당 5.2±2.4 μg이었습니다. #전자현미경 으로 보면 눈에 보이는 것이 드러났고,

플라크 대식세포 사이에 들쭉날쭉한 가장자리의 이물질이 외부 잔해에 흩어져 있습니다. 방사선 사진 조사 결과 이들 입자 중 일부에 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죽종 내에서 MNP가 검출된 환자는 이러한 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환자보다 일차 평가변수 사건의 위험이 더 높았습니다(위험 비율, 4.53; 95% 신뢰 구간, 2.00 ~ 10.27; P<0.001).

CONCLUSIONS 결론

In this study, patients with carotid artery plaque in which MNPs were detected had a higher risk of a composite of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or death from any cause at 34 months of follow-up than those in whom MNPs were not detected. (Funded by Programmi di Ricerca Scientifica di Rilevante Interesse Nazionale and others; ClinicalTrials.gov number, NCT05900947.)

본 연구에서 MNP가 검출된 #경동맥 플라크 환자는 #MNP 가 검출되지 않은 환자에 비해 34개월 추적 관찰 시 #심근경색 , #뇌졸중 또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위험이 더 높았습니다.

(Programmi di Ricerca Scientifica di Rilevante Interesse Nazionale 및 기타 자금 지원, ClinicalTrials.gov 번호, NCT05900947.)

N Engl J Med 2024;390:900-10.

DOI: 10.1056/NEJMoa2309822

******************************************************************************************************

#미세플라스틱 #시험분석 기술서비스 #시험표준개발 #국제공인시험기관 #KOLAS

#시험/분석 #환경 #수질 #토양 #대기 #폐기물 #타이어 #슬러지

#식품 #음료 #벌꿀 #주류 #소금 #어패류 #해조류 #미세플라스틱분석 #미세플라스틱시험

#이물분석 #식품이물 #불량분석

#세탁폐수 (#미세섬유) #세탁망 #필터 #화장품 #치약 #생활화학제품

#식품용기 #티백 #젖병 #종이컵 #정수기 #젖병소독기

#표준개발 ISO/TC61/SC14, TC38, TC147/SC2&SC6 (Microplastics) Korean Delegate

IEC/TC 111/WG 3 & JWG 14 Co-Convenor

IEC 62321-3-2(#Halogen ),-10 (#PAHs ), -13(#BPA ), -14(#SCCP/MCCP ) Project leader

- 분석장비: #TEDGCMS, #microFT-IR #microRaman, #ICPMS #XRF #Combustion-IC 등

#PAHs분석 #SCCPMCCP분석 #Halogen분석

#생체시료분석 #생체미세플라스틱분석 #혈액미세플라스틱분석 #인체미세플라스틱분석

#생체시료시험 #생체미세플라스틱시험 #혈액미세플라스틱시험 #혈액미세플라스틱검사

#ISO/IEC 17025 (국제공인시험기관, KOLAS) 인정 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