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폐기물 2

[KOTRA 해외시장뉴스] EU, 플라스틱 제로 사회로 나아가다

2021-05-03 벨기에 브뤼셀무역관 김도연 - 순환경제, 폐플라스틱 감축 등 플라스틱 관련 규제 지속 심화 전망 - - 바이오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기존 플라스틱 대체품으로 현지 시장 주목 - 최근 폭염, 폭설 등 지구 온난화에 따른 변화로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고조되고 있으며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플라스틱이 지목되고 있다. 1950년 200만 톤에 머물렀던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15년 3.8억 톤으로 무려 190배 증가했으며, 플라스틱의 60%가 자연으로 흡수되고 있으나 재활용률은 10%에 그치는 상황이다. 이에, 만약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 2035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현재의 2배, 2050년에는 4배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9년 EU의 플라스틱 생산량은 총 ..

카테고리 없음 2021.05.07

[KOTRA] EU, 2021년 1월1일 플라스틱세 전격 도입

통상·규제 2020-12-17 박소영 독일 프랑크푸르트무역관 - 환경오염 감축 실효성 여부와 소비자 부담 증가 우려로 각계 반응 엇갈려 - - 국내 기업, 플라스틱 수출 수요 감소에 따른 플라스틱 대체재 시장 타깃 필요 - - 생분해성 신소재 제품으로 새로 열리는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선점 기회를 노려볼 만해 - EU는 플라스틱 사용을 축소하는 동시에 코로나19발 경기부양책 자금 확보를 위해 2021년 1월 1일부로 재활용이 불가능한 플라스틱 폐기물에 kg당 0.8유로(80ct)의 세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플라스틱 사용을 억제하고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개발을 촉진하는 한편, 코로나19발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한 일거양득의 효과를 노린 조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EU ..

카테고리 없음 2020.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