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03 벨기에 브뤼셀무역관 김도연 - 순환경제, 폐플라스틱 감축 등 플라스틱 관련 규제 지속 심화 전망 - - 바이오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기존 플라스틱 대체품으로 현지 시장 주목 - 최근 폭염, 폭설 등 지구 온난화에 따른 변화로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고조되고 있으며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플라스틱이 지목되고 있다. 1950년 200만 톤에 머물렀던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15년 3.8억 톤으로 무려 190배 증가했으며, 플라스틱의 60%가 자연으로 흡수되고 있으나 재활용률은 10%에 그치는 상황이다. 이에, 만약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 2035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현재의 2배, 2050년에는 4배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9년 EU의 플라스틱 생산량은 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