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분석 5

[한국분석과학연구소] 미세플라스틱 분석 업무 소개 및 History: 2018-2024

한국분석과학연구소(KIAST)가 2018년부터 시작해온 미세플라스틱 시험분석 주요 현황과 주요 방송/신문에 소개된 내용을 공유드립니다.연구소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현재 한국분석과학연구소는 그동안 전기전자/자동차/공산품의 인체유해물질 꾸제시험방법 표준개발과 각종 미세플라스틱 시험법 개발 및 표준연구 두 중심분야에 역량을 모아서 전문연구소로 성장하였습니다.​서울 성수동 뚝섬역 4번 출구에서 가까이 위치한 전문 연구소입니다.업무 특성상 해외 유수 표준개발 전문기관 및 미세플라스틱 대학교/연구소와 협력관계를 맺고 시험법 공동 연구 및 협력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각종 첨단분석장비와 전문인력을 확보/양성하여 새로운 분석법을 지속 개발하고 있습니다.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시험분석..

카테고리 없음 2024.08.16

[캘리포니아 법안] 미세플라스틱 – 발생,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완화 정책에 관한 보고서를 캘리포니아 주의회에 제출

Microplastics – Report on Occurrence, Health Effects and Mitigation Policies Submitted to California Legislature ​ 미세플라스틱 – 발생,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완화 정책에 관한 보고서를 캘리포니아 주의회에 제출 On February 2, 2023, the California State Policy Evidence Consortium (CalSPEC) released https://uccs.ucdavis.edu/calspec/2022-research-topic “An Evidence Review for the California State Legislature,” titled “Microplastics Occurr..

카테고리 없음 2023.02.24

[The fish site] Microplastics could make viral fish disease more severe

Microplastics could make viral fish disease more severe 미세 플라스틱은 바이러스 성 물고기 질병을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A new laboratory study shows that microplastics can negatively impact fish health and physiology, finding that the presence of plastic fragments can make IHNV outbreaks more damaging. 새로운 실험실 연구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은 어류의 건강과 생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조각의 존재가 IHNV 발생을 더욱 손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Lead author on the ..

카테고리 없음 2023.01.27

[공유] 토양에서 사용된 씨앗과 비료에서 사용된 미세플라스틱이 오랜 기간 오염을 시켜서 과일 뿌리야채를 오염시킨 듯

최근 논문으로 발간된 내용 중에는 사과 당근 및 상추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표면이 아닌 내부에 수십만개에서 수만개 검출이 되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기존에 EU의 ECHA(유럽 화학물질청) 자료에 의해서도 알려진 씨앗과 비료에 오래전부터 미세플라스틱이 마이크로인캡슐레이션 기능으로 사용되었으나 이제는 더 이상 사용을 하지 못하도록 규제 예정으로 알고 있었지만, 실제 어떤 재질이 사용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여러 논문을 조사하다 보니 대략적인 윤곽을 알 수 있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향기나는 캡슐을 사용하여 섬유유연제에서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은 멜라닌 소재였지만, 비료에서 사용된 플라스틱은 주로 탄성체(elastomer)에 많이 사용되는 Polyurethane, Polystyrene 기타 P..

카테고리 없음 2021.06.18

[KOTRA 해외시장뉴스] EU, 플라스틱 제로 사회로 나아가다

2021-05-03 벨기에 브뤼셀무역관 김도연 - 순환경제, 폐플라스틱 감축 등 플라스틱 관련 규제 지속 심화 전망 - - 바이오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기존 플라스틱 대체품으로 현지 시장 주목 - 최근 폭염, 폭설 등 지구 온난화에 따른 변화로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고조되고 있으며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플라스틱이 지목되고 있다. 1950년 200만 톤에 머물렀던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15년 3.8억 톤으로 무려 190배 증가했으며, 플라스틱의 60%가 자연으로 흡수되고 있으나 재활용률은 10%에 그치는 상황이다. 이에, 만약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 2035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현재의 2배, 2050년에는 4배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9년 EU의 플라스틱 생산량은 총 ..

카테고리 없음 2021.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