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공인시험기관 7

[Lancet 논문] 인간의 다양한 장기(조직)에 대한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플라스틱의 잠재적 영향

임상, 공중 보건, 글로벌 보건 지식을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논문지 (Impact Factor 168·9 (2022) 로 알려진 Lancet에 게제된 인체 주요 장기 중 나노 및 미세플라스틱 관련 논문입니다. ​ 제목: The potential impacts of micro-and-nano plastics on various organ systems in humans 인간의 다양한 장기(조직)에 대한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플라스틱의 잠재적 영향 ​ About Lancet 임상, 공중 보건, 글로벌 보건 지식을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소스입니다. 이 저널의 Impact Factor 168·9 (2022 Journal Citation Reports®, Clarivate 2023)로 전 세계 167개 일반 및 내..

카테고리 없음 2024.02.16

[가디언]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걱정해야합니까?

Should I worry about microplastics?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걱정해야합니까? ​ These tiny particles are polluting the planet, including our bodies. How bad for us are they really? 이 작은 입자들은 우리 몸을 포함하여 지구를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얼마나 나쁘습니까? Joel Snape Sun 4 Feb 2024 15.00 GMT ​ ​ Microplastics are everywhere. These tiny pieces of plastic – the usual definition is anything under 5mm in length – are a by-product of the over-..

카테고리 없음 2024.02.05

[EU R&D 보고서] 환경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기 위한 연구와 혁신

Research and innovation to addres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health 환경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기 위한 연구와 혁신 ​ Publication metadata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we live and work in is a powerful determinant of our health and well-be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 soil and water quality, urbanisation, the built environment, climate change and exposure to chemicals, nanomaterials, ..

카테고리 없음 2023.12.20

[CUSP-research.eu] 연구에 관해 인터뷰한 CUSP 과학자들: 미세 플라스틱이 전염병을 옮길 수 있습니까?

September 7, 2023 From CUSP projects ​ #CUSP scientists interviewed on their research: Can microplastics carry infectious diseases? 연구에 관해 인터뷰한 CUSP 과학자들: 미세 플라스틱이 전염병을 옮길 수 있습니까? ​ ​ #PNAS 는 #Imptox 및 #PlasticsFatE 프로젝트의 CUSP 연구원들을 인터뷰하여 미세플라스틱 및 질병 전파의 흥미로운 세계를 탐구합니다. ​ 미국 국립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공식 간행물인 존경받는 PNAS 저널은 설득력 있는 조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의 세계와 전염병과의 잠재적 연관성을 조사합니다. ​ CUSP 프로젝트 Imp..

카테고리 없음 2023.10.27

[공지] [시험분석 안내] 총불소 정량 (PFAS 과불소화합물 스크리닝)

EU ECHA(화학물질청)에서 현재 #과불화화합물 (PFAS) 사용 제한 추진에 따라서 각종 제품 및 원료/반제품에서 PFAS 함유 여부에 대해 분석을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선적으로 총불소 함유 여부를 확인 가능합니다. ​ 시험항목 : #총불소 (F) 정량 및 #스크리닝 (screening) for #PFAS 시험대상 : PFAS 함유 의심되는 재질 원료/부품 및 제품 등 시험규격 : #IEC 62321-3-2:2020 (Combustion-IC) 검출한계 : 10 mg/kg (ppm) 할로젠 (F 등) 관련 참조 자료 : 아래 link 참조 ​ EU ECHA 보고서 (PFAS, Annex XV report) Annex XV report PFAS Limit Note Components..

카테고리 없음 2023.06.09

[ACS] 미세플라스틱은 다른 오염 물질을 더 유해하게 만들다!

DECEMBER 2, 2022 Microplastics could make other pollutants more harmful 미세 플라스틱은 다른 오염 물질을 더 유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by American Chemical Society Graphical abstract. Credit: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Letters (2022). DOI: 10.1021/acs.estlett.2c0068 ​ Microplastics—small plastic pieces less than five millimeters in length—are becoming a ubiquitous ecological contaminant. Studies suggest that on..

카테고리 없음 2022.12.09

한국분석과학연구소(KIAST) 유해물질 시험방법 IEC 신규 국제표준안(NWIP) 정식 제안 (2022.07)

EU의 RoHS/ELV/REACH 관련 전세계 수입/수출 제품에 대한 유해물질 함유 여부를 시험하는 국제 표준시험방법을 제안하는 IEC/TC 111(전기전자제품의 환경)/WG 3(시험방법 표준개발) 분야에 한국의 표준전문가로 활동중인 한국분석과학연구소(KIAST)에서는 2022년 6월 최종 WG 3 회의의 NWIP 진행 결정 이후 7월에 정식으로 #국가기술표준원 을 통해서 #IEC CO(Central office)에 #NWIP (신규국제표준안)를 제안하였으며 3달간의 회람 및 투표를 통해서 신규 국제표준안을 개발할 계획이다. ​ 이번 제안한 #SCCP/MCCP 물질의 경우, 주로 #전기전자 및 #자동차/각종 #공산품 제품 등에서 사용되는 #PVC 등에 #난연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됨에 따라 EU #RoHS..

카테고리 없음 20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