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74

[업무협력 협약 체결]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MEDI hub) & 한국분석과학연구소(KIAST) 미세플라스틱 공동연구 협약 (8/22)

미세플라스틱 위해성 분석 평가 기술 개발 지원 - 케이메디허브와 한국분석과학연구소의 공동연구 및 상호교류를 위한 업무협약 -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은 22일 한국분석과학연구소(대표이사 김수영)와 미세플라스틱 분석 평가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한국분석과학연구소는 국내 최초의 미세플라스틱 전문 시험분석 연구소로 국제환경규제와 관련된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시험분석 방법의 국제표준 개발 워킹그룹의 의장직 수임 및 다수의 프로젝트 리더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중이다. ​ ○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는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독성시험, 생체 분포, 행동 평가, 인체 위해성 예측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분석과학연구소와 미..

카테고리 없음 2023.09.08

[Scientifc Reports] 남극 킹 조지섬의 젠투펭귄(피고셀리스 파푸아) 유조 위장의 미세플라스틱 (서울대 외)

서울대 야생동물학과 최창용교수님과 환경부 지원으로 극지연구소에서 샘플링한 남극 킹 조지섬의 젠투펭귄(피고셀리스 파푸아) 유조 위장의 시료에서 샘플링한 시료를 한국분석과학연구소에서 micro-FT-IR을 사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한 결과가 논문으로 발간되어 공유드립니다. 기존 남극 펭귄 논문은 주로 배변에서 검출된 논문이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어린 펭귄(유조) 사체의 위장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논문으로 기존 결과와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마도 인체에서도 큰 미세플라스틱은 배출되겠지만, 작은 미세플라스틱은 체내 축정되고 혈류를 통해서 이동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향후 인체시료에서 관련 연구가 필요한 이유일 듯 합니다. ​ Microplastics in gastrointestinal tra..

카테고리 없음 2023.08.11

[공지] [시험분석 안내] 총불소 정량 (PFAS 과불소화합물 스크리닝)

EU ECHA(화학물질청)에서 현재 #과불화화합물 (PFAS) 사용 제한 추진에 따라서 각종 제품 및 원료/반제품에서 PFAS 함유 여부에 대해 분석을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선적으로 총불소 함유 여부를 확인 가능합니다. ​ 시험항목 : #총불소 (F) 정량 및 #스크리닝 (screening) for #PFAS 시험대상 : PFAS 함유 의심되는 재질 원료/부품 및 제품 등 시험규격 : #IEC 62321-3-2:2020 (Combustion-IC) 검출한계 : 10 mg/kg (ppm) 할로젠 (F 등) 관련 참조 자료 : 아래 link 참조 ​ EU ECHA 보고서 (PFAS, Annex XV report) Annex XV report PFAS Limit Note Components..

카테고리 없음 2023.06.09

[저널] 미세 및 나노플라스틱이 BBB(Blood-Brain Barrier)를 뚫습니다.생체분자 코로나의 역할 밝혀지다

Micro- and Nanoplastics Breach the Blood–Brain Barrier (BBB): Biomolecular Corona’s Role Revealed ​ Nanomaterials 2023, 13, 1404. https://doi.org/10.3390/nano13081404https://www.mdpi.com/journal/nanomaterials ​ ​ 초록 인간은 섬유, 자동차 타이어 및 포장과 같은 고분자 재료에 지속적으로 노출됩니다. 불행하게도 그들의 분해 제품은 환경을 오염시켜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플라스틱(MNP)으로 광범위한 오염을 초래합니다. 혈액-뇌 장벽(BBB)은 유해 물질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중요한 생물학적 장벽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스티렌 미세/나노 입자(9..

카테고리 없음 2023.05.12

[사이언스뉴스]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몸에 있습니다. 우리가 건강 위험을 모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Microplastics are in our bodies. Here’s why we don’t know the health risks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몸에 있습니다. 우리가 건강 위험을 모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here are big, open scientific questions about levels of exposure and toxicity ​ 노출 및 독성 수준에 대한 크고 개방적인 과학적 질문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숨쉬는 공기 중에 있으며 폐 조직에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잠재적인 건강 영향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 By Anne Pinto-Rodrigues MARCH 24, 2023 AT 12:00 PM ​ Tiny particles of plastic have been fo..

카테고리 없음 2023.04.21

[ScienceNews] Microplastics are in our bodies. Here’s why we don’t know the health risks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몸에 있습니다. 우리가 건강 위험을 모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Microplastics are in our bodies. Here’s why we don’t know the health risks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몸에 있습니다. 우리가 건강 위험을 모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here are big, open scientific questions about levels of exposure and toxicity ​ 노출 및 독성 수준에 대한 크고 개방적인 과학적 질문 Microplastics are in the air we breathe and have turned up in lung tissue. But the potential health effects are far from clear. LISA SHEEHAN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숨쉬는 공기 중..

카테고리 없음 2023.04.05

[번역] 팟캐스트: 캘리포니아는 식수 내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모니터링 문제에 직면,, 토론 내용 공개

** 미국 캘리포니아의 경우 시민들에게 수돗물에서 검출되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해서 상원법안 통과에 따른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20 미크론 이상이지만 그 이하 방법 개발을 하고 있으며, 향후 더 작은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에 대해서도 공개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아래는 미세플라스틱 관련 유명한 연구자인 Sherri Mason 교수 및 미국 캘리포니아 주 수관리위원회 Scott 박사 등이 참여하여 토론한 내용이니 참조하십시요. 향후 관련 내용을 지속 업데이트 공유 드리겠습니다. ​--------------------------------------- ​ Podcast: California confronts monitoring challenges for microplastics ..

카테고리 없음 2023.03.10

[캘리포니아 법안] 미세플라스틱 – 발생,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완화 정책에 관한 보고서를 캘리포니아 주의회에 제출

Microplastics – Report on Occurrence, Health Effects and Mitigation Policies Submitted to California Legislature ​ 미세플라스틱 – 발생,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완화 정책에 관한 보고서를 캘리포니아 주의회에 제출 On February 2, 2023, the California State Policy Evidence Consortium (CalSPEC) released https://uccs.ucdavis.edu/calspec/2022-research-topic “An Evidence Review for the California State Legislature,” titled “Microplastics Occurr..

카테고리 없음 202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