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plastics 39

[news.mongabay.com] 새로운 AI 모델은 폐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감지하고 식별하는 데 도움

New AI model helps detect and identify microplastics in wastewater 새로운 AI 모델은 폐수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감지하고 식별하는 데 도움 ​ by Abhishyant Kidangoor on 16 January 2024 ​ A new model developed b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Waterloo in Canada uses advanced spectroscop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identify the presence of microplastics in wastewater.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모델은 고급 분광학 및 인공 지능을 사용하여 폐수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24.01.30

[interesting engineering] 연구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이 갈라파고스 제도의 펭귄에 미치는 영향이 밝혀졌습니다. (논문 공유)

아래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펭귄 관련 미세플라스틱 등에 대한 연구 논문을 기사로 제작한 것으로, 본 논문은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Karly McMullen이 주도하여 섬의 먹이사슬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확산되는 방식과 이유를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둔 논문입니다. ​ 한국에서도 남극 젠투 펭귄 내장에서 미세플라스틱 관련 Nature Scientific Report 논문에 게제한 논문 내용을 참조로 공유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jh3370/223180852800

카테고리 없음 2024.01.26

[논문소개] 혈관에 넣는 수액 주사제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

Microplastics Entry into the Blood by Infusion Therapy: Few but a Direct Pathway 주입 요법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혈액으로 유입: 직접적인 경로는 거의 없습니다. Long Zhu State Key Laboratory of Environmental Criteria and Risk Assessment, Chinese Research Academy of Environmental Sciences, Beijing 100012, China College of Water Sciences, Beijing Normal University, Beijing 100875, China More by Long Zhu , Mindong Ma, Xizhuang Sun, ..

카테고리 없음 2024.01.05

HORIBA-KIAST MOU 체결 (2023.12.18)

2023년 12월 18일 월요일, HORIBA(호리바코리아) 와 KIAST(한국분석과학연구소)의 업무협력협약서(MOU)를 체결했다. ​ 안양의 호리바코리아(주) 본사에서 행해진 이날 행사에는 호리바코리아 Tajika Junichi 대표이사와 KIAST 김문해 대표이사가 업무협력협약서에 서명했다. ​ 이날 협약식은 HORIBA와 KIAST 양 기관이 상호 협력해 공동 연구 발굴 및 수행 ・ 연구 인력 상호 교류를 위해 상호 간 업무 협력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 주요 연구분야: RoHS/ELV(자원순환법) 관련 유해물질분석법, 미세플라스틱 분석법 등 ​ 상호 간 협력하여 공동 연구 및 관련 세미나 진행 등을 위한 활동에 협력하기로 한 내용이 담겼다. (좌)KIAST 김문해 대표이사, (우)호리바코리아..

KIAST 2023.12.29

[EU R&D 보고서] 환경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기 위한 연구와 혁신

Research and innovation to addres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health 환경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기 위한 연구와 혁신 ​ Publication metadata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we live and work in is a powerful determinant of our health and well-be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 soil and water quality, urbanisation, the built environment, climate change and exposure to chemicals, nanomaterials, ..

카테고리 없음 2023.12.20

EU action against microplastics (October 2023)

EU에서 미세플라스틱 관련 연구과제 및 각종 활동 현황에 대한 내용을 보고서로 작성하여 발간하였으니 참조하십시요. 각종 연구현황에 대한 내용도 확인 가능합니다. ​ #EU action against #microplastics ​ Manuscript completed in October 2023 The European Commission is not liable for any consequence stemming from the reuse of this publication. More information on the European Union is available on the Internet (http://www.europa.eu).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카테고리 없음 2023.12.15

[CUSP-research.eu] 연구에 관해 인터뷰한 CUSP 과학자들: 미세 플라스틱이 전염병을 옮길 수 있습니까?

September 7, 2023 From CUSP projects ​ #CUSP scientists interviewed on their research: Can microplastics carry infectious diseases? 연구에 관해 인터뷰한 CUSP 과학자들: 미세 플라스틱이 전염병을 옮길 수 있습니까? ​ ​ #PNAS 는 #Imptox 및 #PlasticsFatE 프로젝트의 CUSP 연구원들을 인터뷰하여 미세플라스틱 및 질병 전파의 흥미로운 세계를 탐구합니다. ​ 미국 국립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공식 간행물인 존경받는 PNAS 저널은 설득력 있는 조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의 세계와 전염병과의 잠재적 연관성을 조사합니다. ​ CUSP 프로젝트 Imp..

카테고리 없음 2023.10.27

[업무협력 협약 체결]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MEDI hub) & 한국분석과학연구소(KIAST) 미세플라스틱 공동연구 협약 (8/22)

미세플라스틱 위해성 분석 평가 기술 개발 지원 - 케이메디허브와 한국분석과학연구소의 공동연구 및 상호교류를 위한 업무협약 -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은 22일 한국분석과학연구소(대표이사 김수영)와 미세플라스틱 분석 평가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한국분석과학연구소는 국내 최초의 미세플라스틱 전문 시험분석 연구소로 국제환경규제와 관련된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시험분석 방법의 국제표준 개발 워킹그룹의 의장직 수임 및 다수의 프로젝트 리더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중이다. ​ ○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는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독성시험, 생체 분포, 행동 평가, 인체 위해성 예측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분석과학연구소와 미..

카테고리 없음 2023.09.08

[Scientifc Reports] 남극 킹 조지섬의 젠투펭귄(피고셀리스 파푸아) 유조 위장의 미세플라스틱 (서울대 외)

서울대 야생동물학과 최창용교수님과 환경부 지원으로 극지연구소에서 샘플링한 남극 킹 조지섬의 젠투펭귄(피고셀리스 파푸아) 유조 위장의 시료에서 샘플링한 시료를 한국분석과학연구소에서 micro-FT-IR을 사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한 결과가 논문으로 발간되어 공유드립니다. 기존 남극 펭귄 논문은 주로 배변에서 검출된 논문이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어린 펭귄(유조) 사체의 위장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논문으로 기존 결과와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마도 인체에서도 큰 미세플라스틱은 배출되겠지만, 작은 미세플라스틱은 체내 축정되고 혈류를 통해서 이동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향후 인체시료에서 관련 연구가 필요한 이유일 듯 합니다. ​ Microplastics in gastrointestinal tra..

카테고리 없음 2023.08.11

[사이언스뉴스]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몸에 있습니다. 우리가 건강 위험을 모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Microplastics are in our bodies. Here’s why we don’t know the health risks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몸에 있습니다. 우리가 건강 위험을 모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here are big, open scientific questions about levels of exposure and toxicity ​ 노출 및 독성 수준에 대한 크고 개방적인 과학적 질문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숨쉬는 공기 중에 있으며 폐 조직에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잠재적인 건강 영향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 By Anne Pinto-Rodrigues MARCH 24, 2023 AT 12:00 PM ​ Tiny particles of plastic have been fo..

카테고리 없음 2023.04.21